‘제2의 사춘기 갱년기’ 어떤 증상들이?

제2의 사춘기라고 불리는 갱년기는 인체가 노년기로 접어들면서 오는 현상 중 하나다. 대게 마흔에서 쉰 살 사이에 신체 기능이 저하되면서 찾아온다. 여성의 경우 생식 기능이 없어지고 월경이 정지되며, 남성의 경우 성 기능이 감퇴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여성의 갱년기
갱년기란 단어는 ‘폐경이행기’와 ‘폐경주변기’를 합쳐 부르는 말이다. 폐경이행기는 실제로 완전히 폐경될 때까지 월경이 불규칙해지기 시작하는 시기부터 완전히 폐경되는 시점을 말한다. 대부분 45세 전후부터 평균 폐경 나이인 만 49~40세 갱년기가 나타난다.
폐경주변기란 완전히 폐경되고 1년 이후까지 기간을 말한다. 마지막 월경을 한 날짜로부터 1년 이상 월경이 없다면 폐경이라 진단할 수 있다.
폐경기 때는 어떤 증상들이 나타날까?
1. 월경 시기가 불규칙해진다.
2. 후끈한 발열감 증상이 생긴다.
3. 얼굴에 홍조가 생긴다.
4, 땀이 많이 난다.
5. 잠을 잘 못잔다.
6. 관절 혹은 근육통이 생긴다.
7. 감정 기복이 심해진다.
갱년기가 되면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분비가 적어지면서 위와 같은 증상들이 나타난다. 폐경 여부와 상관없이 폐경주변기, 폐경이행기에도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난다면 치료받을 수 있다.
많은 여성이 갱년기를 준비하기 위해 여러 건강식품과 보조제, 식물성 호르몬 등을 섭취하지만 그것보다는 직접 치료를 받는 것이 효과적이며 안전하다. 치료를 통해 에스트로겐을 보충하게 되면 폐경기 때 경험할 수 있는 고혈압, 심혈관계질환, 뇌졸중 골다공증 등에 대한 예방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감정 기복이 심해지는 예도 있는데 이럴 경우 심리 상담을 받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남성 갱년기
남성에게도 갱년기는 찾아온다. 단 여성 같은 경우 폐경으로 갱년기가 찾아온 것을 쉽게 알 수 있지만 남성의 경우는 자기도 모르게 서서히 갱년기가 찾아온다. 그러므로 자신에게 갱년기가 찾아왔는지에 관한 관심이 필요하다.
물론 피검사와 호르몬 검사를 통해 자신이 갱년기에 접어들었는지 알 수 있지만 병원을 가기 전 자기진단을 통해 알 수 있다.
남성 호르몬은 보통 30대부터 조금씩 덜어진다. 통상적으로 1년에 1%씩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되는데, 40~50대가 되면 조금씩 갱년기가 시작된다. 40대 약 27.4%, 50대 약 31.2%가 갱년기를 알고 있다. 즉 40~50대 중년 나이에서 3~4명 중 한 명이 갱년기를 앓고 있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남자들은 갱년기 때 어떤 증상들이 나타날까?
1. 기력이 떨어진 느낌이 든다.
2. 근력과 지구력이 떨어진 것 같다.
3. 젊을 때보다 키가 줄었다.
4. 삶의 즐거움이 자꾸 떨어진다.
5. 우울감, 불안감이 생긴다.
6. 저녁 먹으면 바로 졸린다.
7. 운동할 때 민첩성이 떨어진다.
8. 일하는데 옛날보다 능률이 떨어진다.
이 중 3개라도 해당한다면 갱년기를 의심해봐야 한다. 또한 성욕 감퇴, 발기력 감소, 이 둘 중 하나라도 자신이 해당한다면 갱년기라 진단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극복해야 할까?
갱년기를 극복하는 방법에 정답이 없다. 다만 갱년기를 늦추는 방법에는 몸에 해로운 술과 담배를 끊어야 하고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것이 좋다. 또한 몸에 좋은 음식을 섭취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렇듯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건강한 삶을 사는 방법이다.
대신 호르몬 수치가 너무 떨어진다면 병원 치료가 필요하다.
[건강] ‘제2의 사춘기 갱년기’ 어떤 증상들이?
”<사진출처_메이저월드>” 제2의 사춘기라고 불리는 갱년기는 인체가 노..
tru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