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마티스 관절염 2,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법

류마티스 관절염의 치료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 운동치료가 있다. 그중에서도 약물치료가 가장 중요하다. 약물치료로 쓰이는 약 중에서 고전적 약물로 알려진 항류마티스 제제가 있으며, 최근에는 생물학적 제제가 나오고 있으며, 이것을 먹는 약으로 개발한 경구 생물학적 제제 등이 있다.
보조적인 치료제로는 소염진통제와 스테로이드 약물이 있다. 스테로이드 같은 경우는 항염증 약물들이 효과를 발생하기 전까지의 시간을 메워 주는 치료제로서 염증과 통증을 가라앉혀 줘 관절의 손상을 막아준다.
그러나 스테로이드를 장시간 과량으로 사용하게 되면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골다공증, 백내장, 녹내장, 소화기 궤양, 감염 등의 위험이 생긴다.
항류마티스 약물 중 가장 중요한 약으로는 메토트렉세이트라(이하 MTX)는 약물이 있다. MTX는 매우 소량을 사용하게 된다. 그 이유는 약이 독하기 때문인데 보통 3~8알 사용하며 일주일에 한 번 복용한다. 부작용으로는 탈모, 오심, 구토 증세가 나타날 수 있다. 그래서 MTX를 복용할 시 엽산 비타민을 같이 복용한다.
또한 약의 부작용으로 약의 독성이 폐에 올 수 있다. 그래서 간질성 폐 질환을 일으킬 수 있으며 빈혈, 혈소판 감소를 불러올 수 있다.
약물치료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조기진단과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류마티스 관절염이 조기에 진단되면 관절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증상이 있을 시 병원을 방문하고 전문가의 정확한 진단에 따라 조기 약물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하다.
류마티스 관절염은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는 질환이다. 그렇기 때문에 증상이 좋아졌다고 해서 스스로 약물 치료를 중단하지 말고 전문의가의 소견이 필요하다. 그리고 류마티스 관절염을 앓는 사람 중에 정신적 우울감과 불안감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래서 주변 가족의 도움과 환자 본인 스스로 류마티스 관절염을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