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력이란 무엇인가?...선천면역과 후천면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을 겪으면서 우리는 면역력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됐다. 이게 100세 시대를 보내기 위해서는 면역력이 중요한데, 잘못된 상식과 습관으로 우리의 몸을 망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트러치 5월 기획보도에서는 면역력에 대해 집중적으로 파헤쳐볼 예정이다.
첫 번째 면역 시리즈로는 면역에 종류를 소개한다. 면역에는 선천적 면역과 후천적 면역이 존재하며 각기 서로 다른 작용을 통해 우리 몸을 보호해준다.
면역이란 무엇인가?
‘면역’이란 우리 몸의 일부가 아닌 것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우리 몸에 들어오는 바이러스를 방어하여 우리 몸을 지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면역이다. 이러한 면역체계에는 크게 ‘선천면역’과 ‘후천면역’으로 분류된다. 선천면역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면역체계를 말하며, 후천 면역은 경험을 통해 얻어지는 면역을 의미한다.
선천면역의 제1차⦁제2차 방어선
‘선천면역’이란 앞서 설명했듯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면역체계를 의미한다. 이 선천면역은 외부로부터 오는 것에 가장 먼저 반응하고 우리 몸을 보호하는 면역체계다. 제1 방어선과 제2 방어선으로 분류되는데, 제1 방어선에는 ▲피부 ▲점막이 있으며, 제2 방어선에는 ▲방어 세포 ▲방어 단백질 ▲염증 ▲열이 포함되어 있다.
제1 방어선
제1 방어선은 ‘물리적인 장벽’과 ‘화학적인 장벽’으로 우리 몸을 공격하는 요인들을 방어한다. 가장 먼저 외부 요인들과 접촉하는 피부는 물리적인 장벽으로 외부 공격을 제일 먼저 방어하는 면역이다. 피부 세포를 구성하는 ‘케라틴’ 성분은 외부 요인이 뿜어내는 효소와 독소를 견딜 수 있도록 한다.
‘화학적 장벽’으로는 피부에 있는 샘에서 분비하는 물질로 땀과 피지를 의미한다. 땀과 피지는 세균의 성장을 늦춰주는 기능을 하며, 피부샘 외에 질 분비물의 산 성분, 위벽에서 분비하는 위산, 침과 눈물의 성분인 라이소자임이라는 효소 등이 화학 장벽의 역할을 한다.

제2 방어선
제2차 방어선은 제1차 방어선인 물리적, 화학적 장벽을 뚫고 우리 몸의 내부로 들어온 외부 요인들을 방어한다. 제2차 방어선에는 방어 세포∙방어 단백질∙염증 반응∙열을 통한 작용이 있다.
‘방어 세포’는 침입한 외부 물질을 먹어 치워 파괴하거나 이에 감염된 비정상 세포를 죽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정상 세포의 표면에 구멍을 뚫어 단백질분해효소인 퍼포린과 그랜자임을 주입하여 해당 세포가 스스로 자멸하도록 유도하고 이와 더불어 주변에 있는 정상 세포에 더 이상 피해가 번지지 않도록 한다
‘방어 단백질’은 인테페론과 보체가 있으며, 외부 요인들의 복제를 늦추고 다른 방어 기전을 증강하는 역할을 한다.
‘염증’과 ‘열’은 외부 요인들로부터 우리 몸을 지키기 위해 발행되는 현상이다. 염증의 목적은 조직의 손상을 최대한 억제하고 외부 요인을 제거하며 조직 재생을 목적으로 한다.
후천면역이란?
‘후천면역’이란 이미 경험한 외부 요인을 기억했다가 이에 맞춰 빠르게 대항하는 면역반응을 말한다. 예를 들어 예방 접종을 통해 얻어지는 면역도 후천면역이다.
후천면역은 선천면역과 다르게 특정 외부 요인에 한정되어 있으며, 장기적인 보호 기능이 있다. 예를 들어 어떠한 질병에 걸린 사람은 그 질병에 대한 후천 면역을 가지게 돼 평생 그 질병에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모든 병에 있어 후천면역이 생기는 것은 아니다. 수두 같은 경우 후천 면역으로 수두의 균과 독성은 파괴되지만, 완벽히 해로운 물질이 파괴치 않아 면역력이 떨어지면 대상포진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후천면역’은 크게‘ 병후면역’, 인공면역으로 나눠진다.
‘병후면역’은 천연두나 홍역 같은 병은 한 번 걸리면 그 후로는 다시 걸리지 않고 면역이 된다. 이것은 체내에 병에 대한 항체가 생성되어 오랫동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면역을 병후면역이라고 한다.
‘인공면역’은 인공적으로 항원을 만들어 우리 몸에 주입하여 항체가 몸 안에 생겨 병을 예방하는 것이다. 인공면역에는 대표적으로 백신과 면역혈청이 있다.
면역력이란 무엇인가?...선천면역과 후천면역
[기획기사] 면역력이란 무엇인가?...선천면역과 후천면역 ..
tru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