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틀니 사용, 연령과 관계 없어…오염 강한 신소재 개발!

보통 틀니를 70, 80대의 전유물처럼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틀니는 다수의 치아 및 관련 구강조직에 손상이 생겼을 때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는 인공적 대용물로 연령에 관련 없이 문제가 생기면 이용이 불가피 하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최근에는 40, 50대도 경우에 따라 틀니를 하곤 한다. 잇몸 상태가 건강하지 않다면 임플란트 수술을 받아도 유지가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당뇨, 고혈압성 질환, 골다공증 등 만성질환이 있다면 수술이 부담스러워 틀니를 선택하기도 한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임플란트에 비해 손쉽게 기능 및 외관, 건강적인 회복이 가능하다는 점이 틀니의 장점이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 경우에 따라 완전 or 부분 선택 가능! 청결한 관리는 필수!
▲치아가 전혀 남아있지 않거나 남아 있는 치아도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경우 ▲치조골의 조건 등 임플란트 수술이 어려운 경우 ▲비용부담이 되는 경우에 완전 틀니 이용이 권장된다. 그러나 자연치가 몇 개 남아 있는 상태의 40, 50대는 부분틀니를 선호하는 비중이 높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완전 틀니는 오로지 잇몸을 통해서 얻게 되는 반면 부분 틀니는 남아있는 치아에 걸치는 상하악 부분 틀니, 이중관을 이용한 부분 틀니, 남아있는 치아에 부착시키는 부분 틀니 등으로 다양하며 유지력도 높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틀니의 힘을 받쳐주는 부위는 일반적으로 메탈, 금, 티타늄 등을 사용하게 된다. 재질마다 장단점이 있는데 강도와 탄력성, 착용감은 메탈보다는 금이나 티타늄이 좋은 편이다. 그러나 환자의 경제적인 문제, 구강건강 등에 따라 소재를 선택할 수 있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구강 건강의 문제로 틀니를 사용하게 됐다면 1년에 한 번은 정기점검을 통해 관리하는 것이 좋고 대개 2년에 한 번은 잇몸과 닿는 부위의 수리가 필요하다. 틀니의 교체로 인한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또 청결을 유지하기 위해서 평소 틀니를 잘 관리해 주는 것이 좋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식사 후에는 틀니를 세척해야 한다. 마모되지 않도록 반드시 부드러운 의치전용 칫솔을 이용하며 열이나 강한 충격에 변성되지 않도록 뜨거운 물에 닦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한 떨어졌을 때를 대비해 충격 완화 장치로 세면대에 물을 담아두고 그 위에서 세척을 진행하는 방법이 권장된다.

또한 틀니로 인한 잇몸 변성을 막기 위해 8시간 정도 틀니를 빼 물에 담가서 보관한다. 보통 자는 시간대를 이용하고 의제 세정제를 넣어 소독을 하는 것도 좋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틀니는 손상된 치아의 기능을 대신하는 만큼 매우 정교한 장치다. 때문에 사용하다가 부러지는 등 문제가 발생한다면 직접 해결하려 하지 말고 반드시 치과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 "음식물 오염 줄이는 틀니 신소재 개발"
연세대 치과대학 권재성·최성환 교수, 미국 미시간대 케니치 구로다(Kenichi Kuroda) 교수 공동 연구팀은 내구성이 높으면서 음식물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틀니용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연구팀에 따르면 그동안 틀니나 교정기 등의 구강 장치는 대부분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MMA) 소재로 만들었다. PMMA 소재는 강도가 우수하고 사람의 몸에 무해해 생체적합성이 높은 편이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하지만 소재가 더러워지지 않는 방오성이 떨어져 구강 장치 표면에 박테리아나 곰팡이 등이 세균막을 형성하고 구강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게 단점으로 꼽힌다. 세균막을 물리적으로 긁어 제거하는 과정에서 틀니가 마모돼 사용 가능 기간이 줄어들기도 한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연구팀은 이런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음식물 등에도 쉽게 오염되지 않는 고분자 소재인 PMEA(Poly 2-methoxyethyl acrylate)를 PMMA와 혼합해 새로운 소재를 개발했다.

이 소재는 내구성이 기존 틀니와 비슷하면서도 틀니 내 세균 번식이 줄어 높은 방오성을 보였다는 게 연구팀의 주장이다.
권재성 치과생체재료공학교실 교수는 "기존 소재보다 구강 염증을 일으키는 단백질 흡착 정도가 50% 줄었으며, 세균막 형성 수치는 20% 수준까지 감소했다"면서 "틀니를 오래 사용하면서도 염증 등의 부작용은 줄일 수 있는 제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틀니 #치과 #충치 #치아 #4050 #5060 #7080 #구강검진 #건강 #건강관리 #이슈 #라이프 #트러치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즈 사이언스'(Biomaterials Science) 최신호에 발표됐다.
[건강] 틀니 사용, 연령과 관계 없어…오염 강한 신소재 개발!
”<사진출처_메이저월드>” 보통 틀니를 70, 80대의 전유물처럼 생각하..
truch.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