류서재, 흥선대원군의 ‘석파란’ 개정판 출간
소설가 류서재가 조선의 마지막 왕 고종의 아버지 흥선대원군의 이야기를 다룬 장편소설 ‘석파란’ 개정판을 출간했다. ‘석파란’은 드라마, 영화 등의 영상 문학상, 고대문학 작가상,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로 선정된 작품이다. 이번 개정판은 ▲1장 네 마음이 내 마음이다 ▲2장 배신의 얼굴 ▲장장 네 마음은 내 마음이 아니다. 등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흥선대원군은 조선 말 국가의 중요한 인물로 한국 정치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석파란은 흥선대원군이 그린 난초를 말한다. 묵란은 선비의 꽃으로 세속에 흔들리지 않는 개결함을 표현한다. 흥선대원군의 방안은 굳게 닫혀 있지만, 그는 방안에서 천하를 바라보며 석파란을 치고 있었다.
흥선대원군은 조선의 왕인 아들 고종보다 더 강력한 권력을 휘두른 인물로 불리며 그를 표하는 호칭도 많다. 대원위대감, 대원위합하, 대원군전하, 국태공전하, 흥선헌의대원왕, 석파한, 석파랑, 석파정 이 호칭들이 모두 이하응을 뜻하는 것들이다.
'방안에서 천하를 본다'는 부제는, 흥선대원군이 방안에서 천하를 바라보며 석파란을 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문을 닫아도 그 향기를 숨길 수 없다는 난초는 작고 가녀리지만 척박한 바위에도 꺾이지 않는 신념과 외롭고 고단한 정신적 수양을 내포하고 있다.
이하응은 세도정치에서 살아남기 위해 궁도령, 막걸리 대감, 상갓집 개를 자처하며 파락호로 지내다가 둘째 아들을 왕으로 만들었다. 이 책은 고종 즉위 사건의 실마리를 석파란으로 놓고 서사를 출발했다. 가장 밑바닥에서 가장 높은 곳으로 치고 올라간 파란만장한 삶을 문인화의 관점으로 색다르게 조명한 작품이다.
이번 개정판에는 작가가 직접 난초를 그리며, 묵란이 내포하는 이상을 문장의 비유적 이미지로 연결하여 문장의 심미성을 강화했다. 이 책은 흥선대원군의 묵란, 석파란의 선묘(線描)에서 풍기는 직관적 인상을 농밀한 문장으로 풀어낸 특징을 보인다.
[독서] 흥선대원군 정치사를 다룬 류서재 장편소설 ‘석파란’ 개정판 출간
”<사진출처_출판사 화리원>” 소설가 류서재가 조선의 마지막 왕 고종..
truch.kr